[CEO 풍향계] 돌연 후계자로 낙점된 조현범…예정대로 승계한 김남호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기업 최고경영자들의 일거수일투족을 살펴보는 'CEO 풍항계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이번주에는 대표이사직을 사임했는데도 그룹 후계자로 지목된 조현범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사장과 예정대로 경영권을 승계한 김남호 DB그룹 신임 회장 소식을 배삼진, 한지이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조현범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사장이 그룹 후계자로 낙점됐습니다.<br /><br />조양래 한국테크놀로지그룹 회장이 차남인 조 사장에게 자신의 지분 전체를 넘겨줬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조 사장의 지분은 단번에 42.9%까지 뛰면서 그룹 내 최대 주주가 됐습니다.<br /><br />조 사장은 조석래 효성그룹 회장의 조카이자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사위죠.<br /><br />지난해 초 아버지가 경영에서 물러난 이후 형인 조현식 부회장과 이른바 '형제 경영'을 해왔는데, 이런 경영 방식이 깨지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조 사장이 금품수수 혐의로 지난 4월 1심에서 집행유예 4년을 선고받고 두 달 뒤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났는데도 차기 회장으로 사실상 지목돼 여러 말들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'형제의 난'이 일어날 수 있는 관측도 있는데 지분 구도상 의미는 없어 보입니다.<br /><br />형인 조 부회장의 지분은 19.32%.<br /><br />조 부회장이 누나들의 지분까지 모두 모아봤자 30%대에 그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조 사장에겐 여전히 사법 리스크가 있습니다.<br /><br />2심에서 실형을 받게 되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DB그룹에서 이근영 회장이 물러나고, 신임 회장으로 김남호 DB연구소 부사장이 취임했습니다.<br /><br />김 신임 회장은 DB그룹 창업주 김준기 전 회장의 장남이죠.<br /><br />2세 경영은 예견됐던 일입니다.<br /><br />김 전 회장이 지난해 3차례 암수술을 받으면서 건강이 좋지 않아 복귀 가능성은 낮았습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김 전 회장 퇴임 이후에는 이 회장을 보좌하며 그룹을 이끌기 위한 준비과정을 밟아왔죠.<br /><br />특히 김 신임 회장은 2000년대 초반부터 지배구조 정점에 있는 계열사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습니다.<br /><br />아버지가 24세의 나이로 창업해 50년간 일군 DB그룹.<br /><br />한때 재계 10위권을 기록할 정도로 굴지의 사업능력을 보였는데, 현재는 40위권에 걸쳐 있죠.<br /><br />김 신임 회장의 경영능력이 얼마나 되는지 아직 입증되지 않았는데, 지켜보겠습니다.<br /><br />'24시간 배터리만 생각한다'는 김준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이 1분기에 창사 이래 최악의 성적표를 받았죠.<br /><br />올해 1분기 영업손실은 1조7,752억원으로 역대 최악의 기록과 비교하면 4배 이상입니다.<br /><br />2분기 실적이 나아질 것이란 기대가 있지만 장담할 수는 없습니다.<br /><br />국제유가 급락으로 대규모 재고 손실이 발생한 데다 코로나19 여파로 석유제품 수요가 급격히 떨어지는 등 3중고를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그나마 다행이라면 배터리 사업 분야의 적자 폭이 줄었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올해 4월에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사장에서 사용량 기준 전 세계 5위까지 뛰어올랐습니다.<br /><br />김 사장은 SK이노베이션을 전통적 굴뚝업종으로 통하는 정유화학회사에서 배터리 기업으로 탈바꿈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죠.<br /><br />하지만 LG화학이 SK이노베이션을 상대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에 제기한 전기차 배터리 관련 영업비밀 침해 소송에 발목이 잡힐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판결은 10월쯤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SK이노베이션이 코너에 몰렸다는 관측이 많은데 패소할 경우 미국 내 사업을 접어야 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김 사장의 앞길은 험난합니다.<br /><br />아버지는 차남 신동빈을 선택했다.<br /><br />고 신격호 롯데그룹 명예회장의 유언장이 발견되면서 신동빈 회장의 입지가 더 강화됐습니다.<br /><br />신 명예회장의 일본 사무실 금고에서 발견된 유언장은 2000년 3월에 자필로 작성됐고, 서명까지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신동빈 회장을 롯데그룹 후계자로 지명한다는 내용과 롯데그룹의 발전을 위해 협력해 달라는 내용도 담겨 있었다고 하죠.<br /><br />신 회장은 지난달 24일 일본 롯데주총에서 롯데홀딩스 사장과 대표이사로 선임되면서 지배구조를 강화했습니다.<br /><br />형인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과의 경영권 분쟁도 마침표가 찍힌 모양새입니다.<br /><br />출발은 일본에서 했지만, 꽃은 한국에서 피운 롯데그룹.<br /><br />하지만 지난해 7월 일본의 수출 규제 이후 일본 기업으로 인식돼 힘든 시기를 겪고 있죠.<br /><br />임직원은 물론 국내 소비자에게 인정받는 기업을 만드는 것은 신동빈 회장의 경영능력에 달려 있습니다.<br /><br />재계 최고경영자의 세대 교체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1세대가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면 그 다음 세대는 발전시킬 책임이 있는데요.<br /><br />'세습 경영'에 대한 비판도 나오는 만큼 개선책 고민도 필요해보입니다.<br /><br />이번 주 CEO풍향계는 여기까지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